프로젝트 지식관리체계: PMBOK(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PMBOK 2판 (1996년): 두 번째 개정판. 프로젝트 관리 영역의 상세 설명과 구체적 정의
🔹PMBOK 3판 (2004년): 프로젝트 관리 영역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관리와 포트폴리오 관리 개념 도입
🔹PMBOK 4판 (2008년): 프로세스 그룹과 지식영역 첫 도입 및 프로젝트 관리 지식 조직화
🔹PMBOK 5판 (2013년): Agile 방법론 도입 및 프로세스 그룹과 지식영역의 구성 일부 변경
🔹PMBOK 6판 (2017년): Agile 방법론과 예측적 방법론 간 상호작용 보강 및 프로젝트 관리 지식, 기술 지속 갱신
🔹PMBOK 7판 (2021년): 최신 프로젝트 관리 동향과 기술적 진보 반영. Agile과 성과 중심의 접근 방식 강조
🔹PMBOK 8판 (2025년 하반기 예정): AI 등 최신 기술, 트랜드 등 반영 예상 (= 6판 + 7판)
PMBOK 주요 특징
✔️프로세스 그룹
1. 시작(Initiating)
2. 계획(Planning)
3. 실행(Executing)
4. 모니터링/통제(Monitoring and Controlling)
5. 종료(Closing)
✔️지식 영역
1. 프로젝트 통합관리(Integration)
2. 프로젝트 범위관리(Scope)
3. 프로젝트 시간 관리(Schedule)
4. 프로젝트 비용관리(Cost)
5. 프로젝트 품질관리(Quality)
6. 프로젝트 자원관리(Resource)
7.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Communication)
8. 프로젝트 위험관리(Risk)
9. 프로젝트 조달관리(Procurement)
10. 프로젝트 이해관계자 관리(Stakeholder)
✔️ 프로젝트 관리 과정 그룹 및 지식 영역
✔️ 프로젝트 성과
PMBOK 7판에서 추가된 Agile과 Hybrid
♾️ Agile 방법론
: 기존의 예측적 방법론들과는 달리 반복적, 적응적인 접근 방식을 강조한 것으로 이는 빠른 변화와 불확실성이 많은 프로젝트에 적합하다는 평이며 Scrum, Kan ban, Extreme Programming 등이 대표적인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반복 주기: 프로젝트를 여러 개 짧은 주기로 나누어 진행, 각 주기는 실행, 검토, 조정 등의 단계 포함
– 고객 중심: 고객 요구사항을 최우선으로 요구사항이 변경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고 유연하게 대응
– 자기조직화 팀: 팀원들 간 협력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력으로 조직화
– 반복적 검토와 개선: 각 반복 주기의 끝에서 프로젝트 결과물 검토, 필요한 개선 반영
: Agile 방법론과 기존 방법론을 혼합 사용한다. 이는 특정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방식을 찾아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모든 프로젝트가 상이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하는 것에 방점을 둔다.
– 유연성/적응성: 프로젝트 특성 및 요구사항에 따라 최적의 접근 방식 선택, 높은 프로젝트 성공률 확보
– 통합적 관리: Agile과 예측적 방법론 통합,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해관계자들과의 의사소통 개선
– 자원 활용 최적화: 각 프로젝트에 가장 부합하는 방법론 선택, 자원의 효율화 추구